알고리즘/기초자료구조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택, 큐 설명 기초적인 자료구조malloc 이나 new를 활용하는 동적할당이 아닌 알고리즘 문제풀이에 필요한 방법으로 구현할 것이기 때문에 배열을 사용한다. Stack스택은 한 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고 뺄 수 있다.마지막에 넣은 data가 가장 먼저 나오는 구조 Last In First Out LIFO이다.stack의 함수에는push : 데이터를 스택에 넣는 연산pop : 스택에서 가장 마지막에 넣은 데이터를 빼는 연산empty : 스택이 비어있는지 확인top : 스택에 가장 마지막으로 넣은 데이터를 확인size : 스택에 들어있는 데이터의 개수 스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int data[N], int size가 필요하다.Queue큐는 한 쪽 끝에서만 데이터를 넣을 수 있고 반대쪽에서 데이터를 뺄 수 있다. 가장 먼저 .. 더보기 [B10828] - 스택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828 이번에는 스택을 간단하게 구현하는 문제입니다.a[10001]이 배열, size가 스택의 크기입니다.push함수는 a[size]에 값을 넣고 size를 1증가시킵니다.즉 크기가 0일 때 push를 하게되면 a[0]에 데이터가 저장됩니다. 그리고 size를 1증가시켜 다음 push에는 a[1]에 저장이 됩니다. pop함수는 push에서 size를 1증가시켜두었기 때문에 a[size-1]이 마지막에 저장된 값입니다. a[size-1]을 출력해 준 후 size를 1 감소시킵니다.empty함수는 bool empty를 활용하여 size가 0이면 empty=true를 통해 스택이 비었는지를 확인합니다.top 함수는 맨 위의 함수값을 출력만 해줍니다... 더보기 이전 1 다음